News
▲ 다큐멘터리 영화 〈우리의 존재는 금지할 수 없다〉 중 엘리자베스 포스터, 밀리 베넷, 이사벨라 트로이 브라조반이 “나는 금서를 읽는다”라는 문구가 적힌 티셔츠를 입고 나란히 앉아있다.
※Family is a symbol of love and comfort, but 53.8% of Korean families are abusive. Even so, domestic violence is widely ...
2023년 4월, 일본에서도 경구 임신중지약이 승인되었습니다. (경구 임신중지약은 이미 2000년 미국 FDA에서 승인하였고, 2005년에는 세계보건기구 WHO가 필수의약품으로 지정함. 그러나 한국에서는 ‘낙태죄’가 사라진 지금까지도 도입하지 않고 있음.) 그런데 여러 제한으로 인해 이용이 확산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관련 기사: 먹는 임신중지약 ...
[편집자 주] 페미니즘은 정말 대중화되었을까? 그렇다면 왜 청[소]년들은 성별화된 문화가 심화되는 걸까. 십대 여성은 ‘여성성’의 잣대에서 이전 세대보다 몸과 마음이 자유로울까. 젊은 남성들은 왜 “인셀”화되고 눈에 띄게 ...
공공임대 정책을 후퇴시키는 시도는 민간주택시장에서 살아가는 우리 곁 동료들의 삶에도 함께 영향을 미친다. 부동산으로서의 집에 매몰되어 거처로서의 집조차 뒤흔들리는 여성들을 우리 어깨 뒤에 남겨두지 말자. 여성 홈리스가 살 수 없는 집, 저장 강박이 있는 내 동료의 어머니가 쫓겨나는 집, 여자를 사랑하는 여자가 질서유지 방해 운운하는 시비 걸리는 집, 그런 ...
Some results have been hidden because they may be inaccessible to you
Show inaccessible results